Skip to content

목회서신
2015.06.12 09:01

성경을 해석한다는 것 2

조회 수 37175

일반적으로 신자들이 성경을 읽는 이유는 지식을 위해서가 아닙니다. 종종 저를 혼란스럽게 하는 말들을 듣게 됩니다. 그것도 아주 유명한 분들의 입에서 나오는 말들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미 제자 훈련의 과정을 통하여 성경을 문맥에서 함부로 떼어내어 이해하거나 그 말씀이 하고자 하는 의미와는 전혀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일이 잘못임을 알고 있습니다. 여기에 하나를 더하여 함부로 아무 구절이나 개인에게 적용하는 것을 좀더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성경에 기록된 말씀에 따라 살고자 하며 순종하고자 하는 것은 신자에게 역사하시는 성령의 은혜입니다. 그렇기에 성령의 충만함으로 살고자 하는 자들은 어찌되었건 성경에 있는 말씀이라면 순종하려고 애를 씁니다. 이러한 마음은 참으로 가상한 것이며 감사한 것입니다. 그러나 말씀에 대한 절대적 순종과 복종에도 분별이라는 능력이 필요함을 아셔야 합니다. 아무 말씀에 따라 순종하는 것은 순종이 아니라 불순종 일 수 있습니다. 비 신앙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아브라함이 이삭을 바치는 사건을 일반화 시켜 모든 이들이 본받고 순종해야 할 말씀으로 이해함으로 자식을 죽인 부모가 있었습니다. 비극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이러한 사건이 극단적인 광신주의자의 무지한 성경 이해의 결과임을 잘 압니다. 또 다른 예로는 23:13 아이를 훈계하지 아니치 말라 채찍으로 그를 때릴지라도 죽지 아니하리라 의 말씀을 그대로 실천하여 자식이 죽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런 경우는 극단적인 상황들입니다. 그러나 이들의 한결같은 주장은 자신은 성경 말씀에 순종했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신자에게 필요한 것은 분별력입니다. 이 분별력은 성경을 이해하는 중요한 능력입니다. 성경을 읽고 이해하는 분별력을 상실할 경우 엉뚱한 적용을 하게 됩니다. 그것이 40일 금식기도입니다. 성경에 기록되어 있으면 무조건 합니다. 그것도 예수님께서 하셨으니 우리도 본받아 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은가 하는 논리를 폅니다. 이것은 무지 일뿐만 아니라 어리석은 것입니다. 성경이 말하고자 하는 예수님의 광야에서의 40일의 금식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예수님께서 하셨다고 해서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수님이 물위로 걸으셨다고 우리도 예수님을 닮아 물위로 걸어야 합니까? 예수님께서 병자들을 고치셨다고 해서 우리 모두가 병을 고치는 자가 되어야 합니까? 아닙니다. 우리는 이러한 이적들을 기록한 복음서의 기록 의도를 이해하여야 합니다.

         복음서에 예수님께서 초자연적 능력을 행하실 때에 그 일을 표적이라는 단어나 이적이라는 말로 표현하는데 이 말들은 모두 예수님께서 그리스도이심을 나타내는 표시로써의 행위라는 것을 말하려는 의도로 기록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오늘날 나타나는 초자연적 능력은 무엇인가? 하는 것은 예수님을 본받아 따라 하는 행위로써의 의미가 아니라 우리가 전하는 복음이 참된 것임을 증명하는 차원에 성령께서 행하는 일들이라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예수님을 본받아 초자연적 능력을 행함이란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만약 그렇게 하고 있다면 그는 스스로가 메시야가 되기 위해 흉내를 내는 것입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40일의 금식기도는 우리가 본받아야 할 예수님의 모습이 아닙니다. 이것은 오직 그분의 메시야 사역을 나타내기 위한 표식인 것입니다. 그렇기에 요한의 제자들이 예수님께 와서 오실 그이가 당신입니까? 라는 질문에 예수님께서는 이사야서에 나오는 말씀을 인용하셨습니다. 그 내용은 오실 메시야가 행하실 이적과 기적들입니다. 그것이 주님이 예언되었던 오실 그분이라는 증명이기 때문입니다


목 회 서 신

사랑하는 성도들에게 보내는 편지입니다..

  1. 구체적인 죄의 지배

    로마서 6장 6절에서 바울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우리는 죄에게 종 노릇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종 노릇하다는 말은 죄의 지배아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자는 더 이상 죄가 그 안에서 왕 노릇하지 못하게 되었다...
    Date2016.09.09 Category목회서신 Views38625
    Read More
  2. 죄의 세력을 인정하라

    우리가 죄에 대하여 생각할 때에 죄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며, 우리의 감각적 영역에 속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힘과 능력에 대하여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그래서 죄의 힘이나 세력을 과소 평가하거나 이해의 부족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Date2016.09.16 Category목회서신 Views38662
    Read More
  3. 신자 안에 있는 죄의 법

    로마서 7장 21절을 보면 그러므로 내가 한 법을 깨달았노니 곧 선을 행하기 원하는 나에게 악이 함께 있는 것이로다 라고 합니다. 이 구절을 통하여 알게 되는 죄가 신자 안에 죄의 법이 있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내가 한 법을 깨달았다고 합니다. 여기서 말하...
    Date2016.09.22 Category목회서신 Views37069
    Read More
  4. 신자 안에 역사하는 죄의 법

    성경은 신자가 죄 사함을 받았고 죄에 대하여 죽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해야 하는 것은 신자는 죄에 대하여 죽었다는 말이 완전히 죄를 짓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거나 완전하게 죄로부터 어떠한 유혹도 받지 않는 상태에 이르렀다는 말...
    Date2016.09.30 Category목회서신 Views38552
    Read More
  5. 신자와 불신자의 차이

    불신자들이 종종 교회나 성도들에 대하여 비판하는 것을 보거나 듣게 됩니다. 목사로써 당연히 마음이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것은 사실입니다. 세상 사람들이 교회와 신자들에 대하여 좋지 않게 이야기 할 뿐만 아니라 심한 욕을 하는 것에 대하여 교회 안의 어...
    Date2016.10.07 Category목회서신 Views38797
    Read More
  6. 왕 노릇 하는 죄

    바울이 로마서를 통하여 죄에 대하여 설명할 때에 죄의 힘과 능력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한 단어가 법이라는 단어입니다. 그렇기에 바울은 죄의 법이라는 문구를 사용함으로 죄가 아무런 힘과 효력이 없는 움직이지 못하며 스스로는 아무것도 하지 못...
    Date2016.10.14 Category목회서신 Views38371
    Read More
  7. 남의 죄에 간섭하지 말라

    교회는 세상과는 달라야 합니다. 교회가 만약 세상과 같다면 어떻게 그것을 교회라고 할 수 있습니까? 세속성에 물들어 가는 교회를 향하여 가슴을 치며 피를 토하듯이 교회의 개혁을 외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이 더욱 속상하고 가슴이 아픈 것은...
    Date2016.10.21 Category목회서신 Views39780
    Read More
  8. 누구에게 먹이를 주고 있는가

    신자의 영적 활동 가운데 가장 중요하며 가장 우선적이며 가장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야 할 것이 신자 자신 안에 내재하는 죄를 죽이는 것이라는 사실에 대하여 공감하고 실천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
    Date2016.10.28 Category목회서신 Views39351
    Read More
  9. 죄의 지배 수단들

    사람의 마음을 정확하게 분석하거나 그 기능을 구분하거나 정의하는 일은 심리학에서 조차도 쉽지 않은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탁월하게 지으셨을 뿐만 아니라 그 마음을 헤아리거나 분석하는 일이 쉽지 않도록 아주 복잡하게...
    Date2016.11.03 Category목회서신 Views39729
    Read More
  10. 죄의 지배력

             신자들이 죄의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죄의 세력에게서 자유 할 수 없다는 것은 죄가 얼마나 신자가까이에 있으며 그 힘이 어떠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죄에 대하여 조금만 이라도 인식하며 죄에 대하여 고민하고 있는 ...
    Date2016.11.10 Category목회서신 Views39752
    Read More
  11. 죄에 대한 신자의 상태

    죄와 관련되어 성경은 신자가 죄에 대하여 죽었다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것은 신자가 더 이상 죄의 종이 되어 영속적 지배 가운데서 벗어났다는 사실을 말해 주는 것입니다. 요한 일서 3:9절에서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마다 죄를 짓지 아니하나니 이는 하...
    Date2016.11.17 Category목회서신 Views40187
    Read More
  12. 신자와 불신자의 진정한 차이

    신자란 하나님에 의해서 새롭게 창조된 자들이라고 지난 시간에 말씀을 드렸습니다. 요한 일서 3:9절에서 하나님의 씨가 신자 속에 거하고 신자는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들이라고 말씀하고 있으며 고린도후서 5:17절에서 새로운 피조물이라고 표현하고 있음을 ...
    Date2016.11.25 Category목회서신 Views39168
    Read More
  13. 신자의 의지 꺾기

    신자 안에는 선을 행하기 원하는 의지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새로운 피조물이 된 신자들은 이제 그 경향성에 있어서 하나님을 향하여 기울어지며 그 결과 성향은 항상 하나님이 기뻐하시고 즐거워 하시는 일에만 매진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하여 실제적으론 신...
    Date2016.12.02 Category목회서신 Views38029
    Read More
  14. 죄와의 싸움의 필요성

             지피지기면 백전 백승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적의 형편을 알고 나의 형편을 알면 항상 승리할 수 있다는 손자병법에서 나온 말입니다. 신자가 온전하며 거룩함으로 날마다 성숙하며 더 깊은 신앙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필수적인 것은 죄의...
    Date2016.12.09 Category목회서신 Views40113
    Read More
  15. 왜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셨는가?

    오늘은 성탄주일이 입니다. 저의 어렸을 적 성탄절에 대한 기억을 더듬어 보면 언제인지는 정확이 기억이 나지 않지만 성탄절에 교회에 가면 선물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였던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집에서는 크리스마스라고 해서 어떤 선물을 기대할 수 ...
    Date2016.12.22 Category목회서신 Views38787
    Read More
  16. 죄의 능수 능란한 활동

    신자 안에 내재하는 죄와 싸우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비록 성경을 통하여 우리가 죄에 대하여 조금씩 알아가며 죄의 세력이 얼마나 강한지 그리고 얼마나 끈질기며 잠시의 중단도 없이 저돌적이며 지속적인지를 깨닫는다 하여도 죄와 싸움에서 지속...
    Date2016.12.29 Category목회서신 Views39647
    Read More
  17. 새해에는

    한 해를 시작하며 새로운 계획을 세우고 목표를 정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주어진 시간과 인생을 좀더 가치 있고 의미 있게 사용하고자 함일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주어진 시간과 인생에 대한 계획과 목표를 세움은 더욱 필요한 ...
    Date2017.01.03 Category목회서신 Views37424
    Read More
  18. 죄의 자리

    로마서 7:18절에서 NIV 성경은 육신이라는 단어를 sinful nature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한글 성경에서 육신이라고 할 때에 의미하는 것이 몸인 육체 자체를 의미하는 것처럼 생각할 수 있으나 바울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몸인 육체 자체에 대하여 말하고 있는 ...
    Date2017.01.09 Category목회서신 Views39004
    Read More
  19. 죄의 자리 마음

    성경이 인간의 마음이 타락으로 인해 심히 부패하여 죄의 자리가 되었으며 그렇기에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은 모든 죄악의 뿌리와 발생과 준동은 마음 속에 있다는 것입니다. 창세기 6장 5절에서 그의 마음으로 생각하는 모든 계획이 항상 악할 뿐임을 보시고 할...
    Date2017.01.17 Category목회서신 Views39806
    Read More
  20. 예배당 건축에 즈음하여

    처음 부임하였을 때에 눈 앞에 닥친 일은 급히 예배를 드릴 장소를 구하는 것이었습니다. 몇 주간의 말미가 있었지만 낯선 이방인들에게 쉽게 예배당 사용을 허락해 주는 교회를 찾기는 쉽지 않았기에 이 교회 저 교회의 문을 두드렸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다 ...
    Date2017.01.27 Category목회서신 Views3835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3 Next
/ 33

차타누가 열린교회 CHATTANOOGA YEOLIN PRESBYTERIAN CHURCH
1622 HICKORY VALLEY RD. CHATTANOOGA, TN 37421
담임 : 박경호 목사 Ph : 423-645-7910 Email : pkrain1@gmail.com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