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20.05.22 12:48

십자가와 죄 1

조회 수 26027

교회에서 죄라는 단어 만큼 거부되거나 또는 오용되는 것은 없습니다. 현대 교회에서 죄에 대한 설교들이 사라지고 있고, 회개나 죄 용서등의 단어들이 전도에서 거론되지 않는 것을 보면 그 심각성을 알 수가 있습니다. 오늘날 현대 교회들이 전하는 복음의 특징은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들지 말라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마음에 거부감이 일어나게 하거나, 또는 마음을 불편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은 치워버려 아무런 제약이나, 거부감 없이 교회 안에서 편안함과 기분 좋음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의 교회를 향한 발길이 끊어 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현대 교회는 치명적인 문제는 사람들을 두려워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을 매료시키며, 즐겁게 하며, 편안하게 할 수 있는 것들에 집착하여 죄인들의 비위를 맞추는데 급급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교회는 회개나 죄 용서와 같은 말을 꺼낼 수가 없으며, 자기 부인이나, 날마다 자신의 십자가를 지는 일 같은 것은 불필요한으로 여겨 사람들의 귀와 눈에서 멀리 치워버린 것입니다.

        또한 죄에 대하여 거론한다고 해도 심리학적으로 죄를 분석하여 과거의 정서적 불완전으로 인한 실수나 혹은 성격적 결함정도로 여기도록 하며, 환경의 문제로 돌려버렸습니다. 그리고 사회 규범으로써의 도덕이나 윤리적 개념 속에서 죄를 인식하도록 하여, 죄를 사회의 틀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의 문제로 가르치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죄에 대한 이해와 죄를 접근하는 방식과 태도는 결코 성경적이지 않습니다. 그리스도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신 것은 인간의 심리적 결함을 위해 죽으신 것도 아니며, 사회적 규범을 따르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죽으신 것도 아닙니다. 성경이 그리스도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신 것이 우리의 죄를 속죄하시기 위하여 죽으셨다고 말씀하는 것은 죄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것이며, 끔찍한 것인가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죄는 하나님의 아들의 죽음을 필요로 하는 사건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이 얼마나 큰 문제인지 가름조차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성경이 말하는 죄를 살펴볼 때에 신약 성경은 죄라는 의미를 나타낼 때에 다섯 개의 헬라어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다섯개의 단어들을 한데 나열해서 놓고 보면 두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죄의 수동적 측면이며 또 다른 하나는 죄의 능동적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입니다. 먼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어가 있는데 하마르티아 라는 단어입니다. 이 말은 죄를 표적에서 빗나간 것, 목적지에 이르지 못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째는 아디키아 라는 단어로 불의 혹은 부정이라고 번역이 됩니다. 셋째는 포네리아 라는 단어로 사악하거나 부패한 종류의 악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넷째는 능동적인 단어로 파라바시스 라는 단어인데 그 뜻은 침입하다 혹은 침해하다로 일정한 한계를 너어가는 것을 표현합니다. 다섯째는 아노미아 라는 단어로 그 뜻은 무법 즉 일정한 법을 무시하거나 어기는 것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다섯개의 단어들을 생각해 볼 때에 이것들은 어떤 객관적인 표준이 이미 정해져 있으며 그러한 기준에 이르지 못하거나 또는 선을 고의적으로 넘어가는 것을 가리킨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럼 이 기준은 무엇인가? 하는 것인데 성경은 이 기준은 하나님의 의해서 제정되었으며 죄란 그 하나님의 정하신 기준이나 표준에 이르지 못하거나 또는 넘어가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목 회 서 신

사랑하는 성도들에게 보내는 편지입니다..

  1. 시험과 우리의 불충분성

    사람들이 시험에 들지 않도록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들은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시험에 들지 않도록 신자들이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노력 가운데 세상에 쌓아 놓은 영예 즉 자신이 교회에서 얻게 된 명성과 평판을 지키기 위한 노력...
    Date2019.05.02 Category목회서신 Views29659
    Read More
  2. 시험에 드는 사람들의 일반적 문제점들

    왜 사람들이 시험에 들게 되는가? 그리고 어떤 사람들이 시험에 드는가? 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려고 합니다. 성경은 어떠한 특별한 상황에 있는 사람들이 시험에 드는 경우에 대하여 말씀하고 있는데 첫째는 악인들이 시험에 드는데 여기서 악인이란 거짓으...
    Date2019.04.24 Category목회서신 Views30711
    Read More
  3. 시험과 우리 자신

    시험을 맞서야 하는 것은 우리 자신으로 즉 우리의 마음과 영혼입니다. 이 싸움의 승패는 가르는 중요한 것은 내 자신이 어떠한 상태인지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먼저 알고 깨닫는 것입니다. 싸움에서 먼저 필요한 것은 지피지기 라는 말이 있습니다. 내 ...
    Date2019.04.18 Category목회서신 Views30837
    Read More
  4. 시험에 들지 않기

    주님께서는 우리가 시험에 들지 않도록 기도하기를 원하셨을 뿐만 아니라 시험에 들지 않기 위한 방법과 수단 또한 가르쳐 주셨습니다. 주님은 우리에게 시험에 들지 않기 위하여 깨어 기도하라고 말씀하셨는데 우리는 이 두 가지의 수단을 통하여 시험에 들지...
    Date2019.04.11 Category목회서신 Views29536
    Read More
  5. 시험에 든 것에 대한 자각 2

    신자가 스스로 자신이 시험에 들어가고 있구나 또는 시험에 들었구나 라는 것을 자각할 수 있는 방법 즉 자신을 점검할 수 있는데 세번째의 내용은 자신의 삶의 상태나 조건에 의해 또는 어떤 수단들을 통해 정욕과 시험이 서로 결탁할 때에 시험에 든 것입니...
    Date2019.04.04 Category목회서신 Views30435
    Read More
  6. 시험에 든 것에 대한 자각 1

    신자가 자신이 시험에 들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하여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는 물음에 답하려고 합니다. 우리는 성경 구절을 통하여 시험에 어떻게 들게 되는가를 알 수가 있는데 야고보서 1장 14절을 보면 오직 각 사람이 시험을 받는 것은 자기 욕심에 ...
    Date2019.03.28 Category목회서신 Views29516
    Read More
  7. 시험의 정의와 시험에 든다는 것

    오늘은 시험의 정의와 시험에 든다는 것은 무엇인가? 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존 오웬에 의하면 시험의 정의는 일반적 의미에서 시험이란 하나님이 사람에게 요구하시는 순종을 버리고 어떻게든 죄를 범하도록 사람의 정신과 마음을 유혹하고 ...
    Date2019.03.21 Category목회서신 Views30621
    Read More
  8. 성경이 말하는 시험이란 8

    오늘은 사단이 시험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사단의 시험이란 적극적으로 죄를 범하게 하는 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것을 사단의 시험이라고 표현합니다. 사단의 시험은 아주 다양한 통로를 통해서 오는데 세 가지로 정리를 하자면 첫...
    Date2019.03.15 Category목회서신 Views30654
    Read More
  9. 성경이 말하는 시험이란 7

    오늘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시험 곧 시련을 주시는 방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하나님께서 시련을 주시는 방법은 세 가지 정도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첫째로는 하나님께서는 감당하기 힘든 의무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시험하십니다. 하나님은 사람들이 도저히 ...
    Date2019.03.08 Category목회서신 Views31128
    Read More
  10. 성경이 말하는 시험이란 6

    성경에서 하나님께서 누군가를 시험하신 다고 할 때에 우리는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분명하고 바르게 이해하여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누구를 시험하시고자 할 때에 두 가지의 사실을 우리는 생각해야 하는데 첫째는 하나님이 시험을 하시는 목적이 무엇인가 하...
    Date2019.02.28 Category목회서신 Views30352
    Read More
  11. 성경이 말하는 시험이란 5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시험에 대하여 생각해 볼 때에 근거가 되고 기초가 되는 성경 구절이 있는데 바로 마태복음 26장 41절 말씀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 기도하라 마음에는 원이로되 육신이 약하도다 하시고 라고 말씀하십...
    Date2019.02.20 Category목회서신 Views32086
    Read More
  12. 성경이 말하는 시험이란 4

    성경이 말하는 시험에 든다는 것이 신앙 생활을 게을리 하기 시작하거나 하나님과의 관계가 멀어져 소원된 상태를 말하거나 또는 신앙 생활을 싫어하거나 떠나는 상태를 가리켜 시험이라고 하지 않고 시험이란 하나님께 온전히 순종하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모...
    Date2019.02.14 Category목회서신 Views30620
    Read More
  13. 성경이 말하는 시험이란 3

    오늘 생각해 볼 것은 신자가 시험에 들게 되는 원인과 이유에 대하여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여기에는 두 개의 요인이 있는데 객관적 요인과 주관적 요인입니다. 인간이 객관적으로 주어진 환경에서 시험에 들어가게 되는 것은 어떤 경우에든지 인간 안에 있...
    Date2019.02.08 Category목회서신 Views31110
    Read More
  14. 성경이 말하는 시험이란 2

    성경이 말씀하고 있는 시험에 대하여 생각해 볼 때에 우선 그 정의를 생각해 보면 우리는 시험을 결과론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말은 죄를 짓게 되었을 때에 비로소 그가 시험에 들었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존 오웬에 의하면 시험이란...
    Date2019.02.02 Category목회서신 Views31501
    Read More
  15. 성경이 말하는 시험이란 1

    성경이 말하는 시험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마태복음 26장 41절을 보면 예수님께서는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 기도하라 마음에는 원이로되 육신이 약하도다 하시고 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구절에서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시험에 들지 않...
    Date2019.01.24 Category목회서신 Views34671
    Read More
  16. 율법과 죄의 관계 3

    그렇다면 율법에 의해 죄는 약해지고 소멸되고 사라지게 되는 것인가? 실제로는 죄의 권능과 힘은 전혀 박살 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살아 있는 동안에 죄는 결코 정복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복되었다는 말은 지배권을 상실했다는 것과 힘을 잃었다...
    Date2019.01.18 Category목회서신 Views33763
    Read More
  17. 율법과 죄의 관계 2

    죄를 발견하고 깨닫게 하는 것은 율법이라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성경은 율법이 죄의 치명적인 성격을 드러낸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로마서 7장 13절을 보면 그런즉 선한 것이 내게 사망이 되었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오직 죄가 죄로 드러나기 위하여 선한 ...
    Date2019.01.11 Category목회서신 Views32690
    Read More
  18. 참된 부모

    자녀를 화장실에 낳아 버린 십대 부모들의 철없는 소식들이 종종 뉴스를 통해 전해지고 있습니다. 생명에 대한 조금만의 진지함과 고귀함과 존엄성을 알고 있었더라면 자신의 뱃속에 열 달 동안 품고 자신과 함께 먹고, 함께 자며, 자신의 호흡에 매달려 살던 ...
    Date2018.12.11 Category목회서신 Views34997
    Read More
  19. 입당 감사 예배를 드리며

    "장소를 옮긴다고 사람이 바뀌지 않습니다" 새 예배당을 건축하며 고민하였던 부분이며 기도의 제목이기도 합니다. 사람의 마음은 기본적으로 새 것을 얻게 되면 기쁘고 즐겁게 됩니다. 그러나 그 기쁨과 즐거움은 잠시 잠깐 머물다 사라지는 안개일 뿐입니다....
    Date2018.12.06 Category목회서신 Views35345
    Read More
  20. 불신자 안에서의 죄 1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실 때 죄가 없는 상태로 지으셨으며 또한 죄를 짓지 않을 수 있는 상태로 지으신 것은 확실합니다. 첫 사람 아담 안에는 하나님의 법이 심겨져 있었으며 하나님을 사랑하며, 의존하며, 교제하는 존재로써 부족함이 없는 상태였던 것입...
    Date2018.12.06 Category목회서신 Views3357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3 Next
/ 33

차타누가 열린교회 CHATTANOOGA YEOLIN PRESBYTERIAN CHURCH
1622 HICKORY VALLEY RD. CHATTANOOGA, TN 37421
담임 : 박경호 목사 Ph : 423-645-7910 Email : pkrain1@gmail.com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