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목회서신
2021.08.10 17:11

십자가와 자기 이해 3

조회 수 24907

앞에서 언급한 내용을 이어서 설명을 드리면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인류보편적인 가치인 사랑과 반대가 되는 미워하지 말라고 가르치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이성이 없는 짐승과 다른 인간됨의 차원에서 서로를 사랑하라고 가르치고 있는 것도 아니라는 점입니다. 십자가는 인간의 타락한 본성과 겉으로는 고상하며, 아름다우며, 선한척하는 모든 악에 대하여 밝히 드러내며, 그들이 누구인지를 들어 내어서 변화를 일으키는 것입니다.

성경은 인간이 자기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에베소서 529절에서 말씀하고 있는데 [ 5:29] 누구든지 언제나 자기 육체를 미워하지 않고 오직 양육하여 보호하기를 그리스도께서 교회에게 함과 같이 하나니 인간은 누구든지 언제나 자기 육체를 미워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직 양육하며 보호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바울은 예외가 없다고 합니다. 누구든지 그렇습니다. 그리고 언제나 그렇습니다. 세상 모든 인간은 누구든지 언제나 자신을 사랑하며, 양육하고 보호하기를 본능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네 자신과 같이 네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은 네 자신을 먼저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언제든지 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이웃에 대하여 누구든지 언제나 양육하고 보호하며 미워하지 않는 태도를 가지고 사랑하는 의미인 것입니다. 즉 인간의 자신을 향한 본질적인 욕구의 방식으로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둘째는 언어학적으로 네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이 말하는 가르침의 의미는 절대로 자신을 사랑하라고 해석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유는 여기에 사용된 사랑하다 라는 동사인 아가페의 경우에 이 사랑은 다른 사람을 섬기는 자기 희생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가페는 결코 자신을 향하여 행하는 어떤 사랑의 행위를 표현하지 않습니다. 항상 자기 희생과 헌신에 사용되는 사랑이라는 단어라는 것입니다.

       셋째는 신학적으로 성경에서 죄를 자기 사랑으로 가르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루터는 죄는 자신에게로 굽는 성향이라고 말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디모데후서 31-2절을 보면 [딤후 3:1-2] 너는 이것을 알라 말세에 고통하는 때가 이르러 사람들이 자기를 사랑하며 돈을 사랑하며 자랑하며 교만하며 비방하며 부모를 거역하며 감사하지 아니하며 거룩하지 아니하며 라고 합니다. 여기서 말세에 고통하는 때가 이르는데 이 때에 사람들은 자기를 사랑한다고 합니다. 자기를 사랑하는 것이 말세의 징조라는 것은 놀라운 것입니다. 성경은 자기 사랑이 좋은 것이다라고 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크게 문제되지 않는 일이라고 말하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말세의 징조로 죄로 말미암아 고통의 시대를 상징하는 상징으로써 자기 사랑이 표현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인간은 타락한 존재이며, 스스로 선한 것을 낼 수 없는 존재입니다. 더욱 분명하고 확실한 것은 인간은 그들이 범죄한 행위들로 말미암아 어느 누구도 예외 없이 하나님의 진노에서 벗어날 수 없는 비참한 존재라는 것입니다.

        성경이 이렇게 자기 사랑에 대하여 부정적이라면 우리는 자신을 혐오해야 하는가? 라는 생각을 할 수가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내용 속에서 우리는 두 극단에 서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며, 이해해야 하는가? 하는 것입니다.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은 말세의 징조로써 죄를 범하는 행위이며, 그렇다면 자신을 혐오하며, 미워하며, 무관심하며, 포기해야 하는가 하는 것입니다.

 


목 회 서 신

사랑하는 성도들에게 보내는 편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수
297 목회서신 내 인생의 책들 2016.05.20 38116
296 목회서신 모순으로 가득 찬 마음 2017.02.24 38158
295 목회서신 십자가 21 십자가의 고통 1 2020.02.20 38159
294 목회서신 오직 은혜로 2015.08.28 38183
293 목회서신 주님께서 십자가를 지시기전에 하신 일들 2 2020.02.14 38194
292 목회서신 이방인들이 바라보는 십자가 2020.01.16 38220
291 목회서신 참된 부모 2018.12.11 38243
290 목회서신 반감에 대한 승리 비결 2017.04.28 38283
289 목회서신 구원의 목적 2 2016.04.08 38287
288 목회서신 설립 4주년 감사 예배를 맞이하며 2015.09.18 38312
287 목회서신 십자가의 성취 화해 3 2020.12.16 38339
286 목회서신 입당 감사 예배를 드리며 2018.12.06 38344
285 목회서신 마음에 대한 대책 2017.02.16 38368
284 목회서신 예배당 건축에 즈음하여 2017.01.27 38374
283 목회서신 나는 누구인가? 1 2016.02.19 38377
282 목회서신 오늘날의 포티 나인너즈 2015.12.10 38382
281 목회서신 왕 노릇 하는 죄 2016.10.14 38404
280 목회서신 신자가 죄를 지을 수 있다는 것이 죄를 지어도 괜찮다는 것은 아니다 2016.08.11 38407
279 목회서신 예수를 믿는 다는 것이 가지는 의미의 다양성 2015.08.07 38415
278 목회서신 교회를 찾고 계십니까? 2016.01.08 38446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33 Next
/ 33

차타누가 열린교회 CHATTANOOGA YEOLIN PRESBYTERIAN CHURCH
1622 HICKORY VALLEY RD. CHATTANOOGA, TN 37421
담임 : 박경호 목사 Ph : 423-645-7910 Email : pkrain1@gmail.com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