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목회서신
2015.05.15 02:42

신앙의 유산 3

조회 수 37455

존 웨슬리가 그의 동역자들에게 권면하는 내용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살펴볼 내용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나 혹은 발생되는 일들 속에서 일어날 수있는 분노나 화에 대한 신자의 대처로 그것을 가슴에 품고 지속적으로 생각하거나 묵상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마음은 항상 무엇을 담고 있느냐에 따라 그 방향으로 흐르게 됩니다. 사랑을 담고 있는 사람은 사랑이 그의 마음에 흐르게 됩니다. 그러나 미움을 담고 있는 사람은 그 마음에 미움이 흐르게 되는 것입니다. 문제는 항상 마음의 흐름은 몸을 통하여 행동으로 표출 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기에 늘 속에 있는 것들이 밖으로 나오게 된다는 것입니다. 타락한 후에 인간의 마음은 죄로 말미암아 오염되어 항상 악한 것들이 가득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악을 표출하는 원인이 되어 왔습니다. 예수님께서도 이러한 인간의 마음의 악함을 말씀하시는데 마태복음 1519절에서 마음에서 나오는 것은 악한 생각과 살인과 간음과 음란과 도둑질과 거짓 증언과 비방이니 라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신자란 마음이 새롭게 되어진 자들이기에 그 안에 담을 것을 조심하여야 합니다. 분노와 화를 지속적으로 묵상하고 생각한다면 결국 그것들에 의해 지배를 당하여 육체에 죄를 지을 기회를 주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마음 밖으로 처리해야 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죄 외에는 어떤 것에도 수치스러워하지 말라고 합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의 의미가 있는데 하나는 죄가 얼마나 수치스러운 일인가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죄를 가볍게 여기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특히 공개 되지 않는 숨겨진 은밀한 죄에 대하여는 전혀 개의치 않고 죄의식은 물론 죄책감도 느끼지 못하는 시대입니다. 죄의식이 없으면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합니다. 이러한 문제의 근원은 죄가 무엇인지를 모른다는 것입니다. 죄가 무엇인지를 모르기 때문에 수치감을 느끼지 못하며 또한 죄가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를 모르기 때문으로 우리의 죄를 위해 무엇이 지불되었는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죄가 부끄럽고 수치스러운 것은 그리스도 예수를 통하여 주신 구원의 은혜에 반하는 행위이자 그의 백성들을 거룩하게 하시는 하나님을 욕되게 하는 것입니다. 죄를 씻어 깨끗하게 하셨는데 다시 죄 속에 들어간 다는 것은 마치 개가 자신이 토하였던 것에 돌아가고 돼지가 씻었다가 다시 더러운 구덩이에 눕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렇기에 죄를 짓는 다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일 뿐만 아니라 부끄러운 일입니다.

         둘째로는 웨슬리가 죄 외에 어떤 것에도 수치스러워하지 말라는 말에서 어떤 것에도 라는 말이 가지는 의미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신자가 수치스러워 할 것은 죄에는 없다는 말은 다른 어떤 것에 대하여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창피하게 여기지 말라는 말인데 그는 시간이 허락된다면 나무를 하거나 물을 긷고, 자신의 신이나 이웃의 신을 닦는 것과 같은 허드렛일을 하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지 말라고 합니다. 자신 스스로를 고상하게 생각하여 이일 저 일을 가려서 하는 행위를 조심하라는 것입니다. 모두가 하찮게 여기고 천하게 여기는 일이라도 결코 천하거나 하찮거나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일에 있어서 귀천은 없습니다. 신자는 모든 일을 하나님께 하듯이 하며 최선을 다하여 해야 합니다. 또한 그 일에 대한 소명의식을 가지고 일해야 합니다. 일의 귀천은 인간들이 정해놓은 것이며 바라보는 시각일 뿐입니다. 죄를 짓는 것이 아니면 기쁨으로 또한 즐거움으로 그 일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함으로 일해야 합니다. 그것이 바른 신자의 일에 대한 자세이며 태도입니다


목 회 서 신

사랑하는 성도들에게 보내는 편지입니다..

  1. 신자를 쓰러드리는 죄

    죄는 신자에게 있어서 믿음을 약화시기고 신앙을 쇠퇴하게 만드는 강력한 방해 세력입니다. 세력이라고 한 것은 죄란 실재하는 힘이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로마서 롬 7:23절에서 내 지체 속에서 한 다른 법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으...
    Date2016.06.30 Category목회서신 Views37535
    Read More
  2. 신앙의 유산 4

    존 웨슬리가 신앙적 권면에 대한 마지막 내용입니다. 그 첫 번째는 시간을 엄수하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누군가와 시간과 관련된 약속을 했을 때에 약속을 어기는 것은 자신의 시간을 허비한 것만 아니라 상대방의 시간을 허비한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누군가...
    Date2015.05.23 Category목회서신 Views37518
    Read More
  3. 마음의 행동 양식

    오늘 우리가 생각해 보려고 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의 행동 양식에 대하여 입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연구가 진행될 뿐만 아니라 아직도 정확하게 증명되거나 파악되지 못하여 여러 이론으로 남아 있지만 모든 전문적인 부분을 제외한 일반적으로 모두가 동의...
    Date2017.02.08 Category목회서신 Views37509
    Read More
  4. 죠지 뮬러 3

    영국 속담에 잔잔한 바다에서는 결코 위대한 선장이 만들어 질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위대한 사람은 아무런 시련이 없이 고난이 없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 줍니다. 5만번의 기도 응답이라는 수식어 때문에 우리는 뮬러의 인생이 순풍에 ...
    Date2016.04.29 Category목회서신 Views37507
    Read More
  5. 하나님의 거룩과 진노 1

    십자가에 대하여 생각할 때에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은 인간들의 죄를 위하여 자신의 아들을 대속의 제물로 십자가에 죽기까지 진노를 쏟아 부으셔야만 하는 하나님에 대하여 입니다. 도대체 하나님은 죄에 대하여 이렇게까지 하셔야만 하는가? 하나님의 ...
    Date2020.06.12 Category목회서신 Views37498
    Read More
  6. 기도합주회

    성경에 준하여 기독교의 부흥과 지상에 그리스도 왕국의 확장을 구하는 비상한 기도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들 가운데 분명한 일치와 가시적 연합을 증진시키기 위한 하나의 겸손한 시도라는 책의 이름이 있습니다. 이 책은 조나단 에드워즈에 의해 1748년에 쓰...
    Date2016.06.29 Category목회서신 Views37490
    Read More
  7. 신자의 부르심의 자리

             신앙 생활을 오래 하신 분들 가운데서도 신앙 생활을 단순히 주일에 교회에 나와 예배를 드리고 구역 모임이나 또는 기도회에 참석하는 것이 전부인 것처럼 생각하시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앙의 기본적인 행위들이 잘못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
    Date2016.05.27 Category목회서신 Views37466
    Read More
  8. 신앙의 유산 3

    존 웨슬리가 그의 동역자들에게 권면하는 내용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살펴볼 내용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나 혹은 발생되는 일들 속에서 일어날 수있는 분노나 화에 대한 신자의 대처로 그것을 가슴에 품고 지속적으로 생각하거나 묵상하지 말라는 ...
    Date2015.05.15 Category목회서신 Views37455
    Read More
  9. 나는 누구인가? 2

    둘째로는 무엇을 배우는가? 하는 것이 개인의 인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학습 즉 배움이라는 것은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자연적인 습득으로 누군가에 의해 의지적 강요나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닌 저절로 얻게 되는 학습입니다. ...
    Date2016.02.26 Category목회서신 Views37420
    Read More
  10. 왜 죄에 대하여 불편하게 여기는가

    제가 들은 이야기가 사실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어느 교회에서는 장로님들이 목회자의 설교를 미리 검열(?)한다고 합니다. 문제는 검열의 이유가 목회자가 이단적 설교를 하는지 또는 비성경적 설교를 하는지에 대한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입맛에 맞지 않는...
    Date2016.07.08 Category목회서신 Views37406
    Read More
  11. 오직 성경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종교 개혁자들이 외쳤던 슬로건 가운데 첫 번째로 오직 성경으로 라는 주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오직 성경이라는 말은 성경은 유일한 권위를 가진 책이다 라는 의미로 오늘날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성경을 중시하며 ...
    Date2015.08.28 Category목회서신 Views37331
    Read More
  12. 성경을 해석한다는 것 8

    초기 성도들과 함께 성경 공부를 하면서 들었던 질문들 가운데 자주 듣게 되었던 것은 예전에 들었던 본문에 대한 말씀과 다르다는 것입니다. 오랜 동안 신앙 생활을 하면서 이미 머리 속에 각각의 본문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가 있었는데 어느 순간에 그 말...
    Date2015.07.24 Category목회서신 Views37304
    Read More
  13. 누가 당신의 삶의 기준인가

    오늘날을 정보화 시대라고 정의 하기도 합니다. 정보화 시대의 특징 중 하나는 경계가 없어지고 장벽이 제거된다는 것입니다. 인터넷으로 지구 반대쪽에 있는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대화할 수 있는 시대인 것입니다. 그렇기에 나라간의 장벽이...
    Date2016.01.28 Category목회서신 Views37283
    Read More
  14. 예수 믿고 복 받으세요(?)

    20대 초반에 전도폭발이라는 훈련을 받았던 적이 있습니다. 그 과정을 수료하기 위해서는 실습 훈련을 통과해야 하는데 마지막 실습은 훈련생 둘과 전도 대상자를 찾아 나설 지도할 지도자 한 분 이렇게 세 명이 한 팀이 되어 실제로 전도를 합니다. 어떤 팀들...
    Date2015.11.13 Category목회서신 Views37279
    Read More
  15. 죄의 효능 8

    죄가 신자의 신앙을 퇴보하게 하는 방법과 수단 가운데 또 다른 하나는 신실하다고 하는 자들의 나쁜 본보기를 본받게 함으로 처음 가졌던 열심과 거룩함을 퇴보시키게 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함께 하나님의 은혜에 참여하고 있다고 믿는 사람들을 깊이 공...
    Date2018.10.25 Category목회서신 Views372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44 Next
/ 44

차타누가 열린교회 CHATTANOOGA YEOLIN PRESBYTERIAN CHURCH
1622 HICKORY VALLEY RD. CHATTANOOGA, TN 37421
담임 : 박경호 목사 Ph : 423-645-7910 Email : pkrain1@gmail.com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