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목회서신
2016.10.14 06:26

왕 노릇 하는 죄

조회 수 38435

바울이 로마서를 통하여 죄에 대하여 설명할 때에 죄의 힘과 능력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한 단어가 법이라는 단어입니다. 그렇기에 바울은 죄의 법이라는 문구를 사용함으로 죄가 아무런 힘과 효력이 없는 움직이지 못하며 스스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무생물이 아님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입니다. 법이란 말은 실체가 없는 의미나 상징적 단어이지만 죄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법은 실제적이며 사실적인 능력으로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바울은 로마서 6 12절에서 그러므로 너희는 죄로 너희 죽을 몸에 왕 노릇 하지 못하게 하여 몸의 사욕을 순종치 말고 라고 합니다. 여기서 죄가 왕 노릇 한다는 말은 죄가 왕으로 지배한다는 뜻입니다. 또한 6 14절에서는 죄가 너희를 주관치 못하리니 이는 너희가 법 아래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 있음이니라 라고 합니다. 이 구절에서 바울은 죄가 너희를 주관치 못한다고 합니다.

         이 구절들에서 우리가 알게 되는 죄와 인간과의 관계는 죄는 타락하여 범죄한 인간에게 왕 노릇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주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단들이 나타내는 것은 죄는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그 지배력을 행사할 지배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성경은 분명하게 죄는 실체 없는 상징적 표현이나 또는 단순한 의미만 가지고 있는 단어가 아니라 실존하며 실재하는 세력이라는 사실입니다.

         신자된 우리가 감사하며 기뻐해야 할 것은 이러한 죄의 힘인 지배력에서 우리가 벗어나며 해방되었다는 사실입니다. 더 이상 죄는 신자 안에서 왕 노릇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신자를 온전히 지배하지 못하게 된 것입니다. 바울은 죄가 신자에게서 그 지배권을 완전히 상실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성경이 이것을 증거하고 있는데 로마서 618절을 보면 바울은 우리가 죄로부터 해방되어 의에게 종이 되었느니라 라고 합니다. 우리가 죄로부터 해방된 것입니다. 이러한 죄로부터의 해방은 분명하고 확실하게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으심 으로부터 이며 그 결과로 인한 것입니다. 바울은 로마서 6 6절에서 우리의 옛 사람이 그리스도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혀 죽었다고 선언하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능력이 우리를 죄에서 해방시켰을 뿐만 아니라 죄의 책임에서도 해방시키신 것입니다.

         그러나 신자가 이러한 사실에 대하여 샴페인을 터뜨리며 기뻐만 할 수 없는 것은 죄가 신자에게서 그 지배권을 완전히 상실했다는 것이 참이요 사실로써 죄는 신자 안에서 최대한의 힘을 발휘하거나 왕 노릇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죄가 신자 안에서 완전히 사라졌으며 죄의 힘과 능력이 완전히 소멸되어 없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죄는 신자 안에서 약해져 있으며 예전과 같이 완전히 신자를 굴복시킬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죄는 그 본성과 본질이 전혀 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자신의 능력을 힘을 발휘하려고 부단히 신자의 마음을 노리며 유혹을 고삐를 늦추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12절에서 몸의 사욕에 순종하지 말라는 명령을 하는 것입니다. 죄가 몸의 사욕을 틈타 신자를 향한 지배력을 회복하려고 날마다 애를 쓰고 있기에 신자는 마음을 지키는 일에 온 힘을 기울여야 하는 것입니다


목 회 서 신

사랑하는 성도들에게 보내는 편지입니다..

  1. 설립 4주년 감사 예배를 맞이하며

    이번 주는 열린 교회 설립 4주년입니다. 매년 마다 설립을 기념하고 그날을 기억하는 것은 잊지 않기 위해서이며 바른 길을 가고 있는가? 를 물으며 어떻게 하나님 앞에 우리는 살아야 하는가를 생각해 보기 위해서 입니다. 여호수아서를 읽다 보면 이스라엘 ...
    Date2015.09.18 Category목회서신 Views38410
    Read More
  2. 마음에 대한 대책

    죄는 인간의 외부에서 인간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부인 마음에 그 자리를 하고 있습니다. 죄의 힘은 군사나 무기들의 규모나 힘에 있을 분만 아니라 죄가 소유하고 있는 난공불락과 같은 마음이라는 요새에 있는데 그래서 죄와의 싸움을 더욱 어렵...
    Date2017.02.16 Category목회서신 Views38415
    Read More
  3. 예배당 건축에 즈음하여

    처음 부임하였을 때에 눈 앞에 닥친 일은 급히 예배를 드릴 장소를 구하는 것이었습니다. 몇 주간의 말미가 있었지만 낯선 이방인들에게 쉽게 예배당 사용을 허락해 주는 교회를 찾기는 쉽지 않았기에 이 교회 저 교회의 문을 두드렸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다 ...
    Date2017.01.27 Category목회서신 Views38422
    Read More
  4. 왕 노릇 하는 죄

    바울이 로마서를 통하여 죄에 대하여 설명할 때에 죄의 힘과 능력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한 단어가 법이라는 단어입니다. 그렇기에 바울은 죄의 법이라는 문구를 사용함으로 죄가 아무런 힘과 효력이 없는 움직이지 못하며 스스로는 아무것도 하지 못...
    Date2016.10.14 Category목회서신 Views38435
    Read More
  5. 오늘날의 포티 나인너즈

    1848년 1월 24일 비가 억수같이 내린 후에 방수로 점검을 하다 스코틀랜드 출신 목수 제임스 마샬은 자갈과 암석 조각 사이에서 희미한 광택이 나는 물체를 발견하고 그것을 몇개 주워서 검사를 해보았습니다. 검사 결과는 순도가 뛰어난 금이였습니다. 이 사...
    Date2015.12.10 Category목회서신 Views38447
    Read More
  6. 신자가 죄를 지을 수 있다는 것이 죄를 지어도 괜찮다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신자들이 놓치는 가장 중요한 진리 가운데 하나는 죄에 대하여 입니다. 이 땅에서의 모든 삶은 신자에게 있어서 성화를 이루는 삶입니다. 신자의 성화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대적은 바로 죄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강력한 대적인 죄에 대하여 무지하며 ...
    Date2016.08.11 Category목회서신 Views38458
    Read More
  7. 예수를 믿는 다는 것이 가지는 의미의 다양성

    오늘날처럼 예수를 믿는 다는 말이 가지는 의미가 너무나 다양하게 해석되고 이해가 되는 때가 있었는지 의문스럽습니다. 기독교 초기에는 예수를 믿는 다는 것은 오직 한가지 의미만을 말해주는 것이었습니다. 예수를 믿는 다는 것은 오직 예수를 주와 그리스...
    Date2015.08.07 Category목회서신 Views38468
    Read More
  8. 나는 누구인가? 1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인생을 사는 가는데 한번 쯤은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 본 경험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인간이란 누구인가? 하는 인간 자체에 대한 본연의 질문일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인간에 대한 깊은 철학적 ...
    Date2016.02.19 Category목회서신 Views38489
    Read More
  9. 교회를 찾고 계십니까?

    교회를 찾고 계십니까? 아니면 예수님을 찾고 계십니까? 이 질문이 무슨 의미인지 궁금하실 것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교회를 찾고 있는 것과 예수님을 찾는 것이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생각은 분명 옳은 것이며 또한 그래야 합니다....
    Date2016.01.08 Category목회서신 Views38522
    Read More
  10. 성경을 해석한다는 것 5

    오랜 교회의 역사 속에서 성경을 어떻게 해석 할 것인가 하는 것은 중요한 화두이자 고민이었습니다. 이런 고민들의 배경 속에는 교회 안에서 성경을 잘못된 해석 방식과 방법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들이 있었으며 그들로 말미암아 성경 해석이 성경의 원래의 뜻...
    Date2015.07.03 Category목회서신 Views38544
    Read More
  11. 성경을 해석한다는 것 1

    열린 교회 안에 큐티 나눔방을 생각할 때마다 참 많이 감사합니다. 이유는 자생적으로 생겨났고 자생적으로 유지 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목사에 의해서나 교회의 프로그램에 의해 인위적으로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렇지 않고 스스로 말씀의 필요성...
    Date2015.06.05 Category목회서신 Views38575
    Read More
  12. 신자 안에 역사하는 죄의 법

    성경은 신자가 죄 사함을 받았고 죄에 대하여 죽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해야 하는 것은 신자는 죄에 대하여 죽었다는 말이 완전히 죄를 짓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거나 완전하게 죄로부터 어떠한 유혹도 받지 않는 상태에 이르렀다는 말...
    Date2016.09.30 Category목회서신 Views38624
    Read More
  13. 사단과 죄의 관계

    과거 한동안 한국 교회에 잘못된 마귀론이 유행하였던 적이 있었습니다. 이 이론의 중심에는 불신자는 죽으면 귀신이 되며, 사람이 병이 들거나, 다치거나, 어려움에 빠지게 되는 모든 일들은 마귀와 귀신들의 역사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배가 아파도, 머리가 ...
    Date2017.06.08 Category목회서신 Views38651
    Read More
  14. 하나님의 거룩과 진노 5

    베드로전서 1장 17절을 보면 외모로 보시지 않고 각 사람의 행위대로 심판하시는 이를 너희가 아버지라 부른즉 너희가 나그네로 있을 때를 두려움으로 지내라 라고 합니다. 이 구절이 말씀하고 있는 것은 하나님을 우리는 아버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럼에...
    Date2020.07.07 Category목회서신 Views38681
    Read More
  15. 마음을 지켜야 할 이유

    잠언 4:23절은 모든 지킬 만한 것 중에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 라고 말합니다. 이 말씀은 우리가 사는 가운데 많은 지키고자 하는 것, 보존하거나 보호하거나 유지하고자 하는 것들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전제합니다. 그것이 구...
    Date2016.03.04 Category목회서신 Views386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45 Next
/ 45

차타누가 열린교회 CHATTANOOGA YEOLIN PRESBYTERIAN CHURCH
1622 HICKORY VALLEY RD. CHATTANOOGA, TN 37421
담임 : 박경호 목사 Ph : 423-645-7910 Email : pkrain1@gmail.com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